안녕하세요, 태오입니다.
몇 주 푹 쉬었다 다시 증시 요약을 시작합니다.
단기 투자자가 아니어서 흘러내리는 횡보장에서 매일 종목 체크하려고 하니 진이 빠지더라고요.
그래서 더 간략하게 중요 포인트만 정리해서 하루를 마무리해볼까합니다.
증시요약 - 특징 테마
2차전지 (소재/부품) |
삼성SDI,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 공개 및 향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 확대 전망 등에 상승 |
▷최근 삼성SDI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 참여해 차세대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을 선보였다는 소식이 전해짐. 삼성SDI는 이번 전시에서 올해 말 5세대 배터리를 비롯해 2023년 6세대, 2025년 7세대, 2027 년 8세대 배터리를 내놓을 것이라는 자체 로드맵을 소개했으며, 7세대까지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유지하고 8세대부터는 차세대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를 선보여 포스트리튬이온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인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아이디테크엑스(IDTechEx)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 시장의 규모는 2030년까지 60억 달러(약 7조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일진머티리얼즈, 한농화성, 천보 등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가 상승. 한편, 씨아이에스는 삼성SDI와 전고체 배터리 정부 과제 공동 참여한 사실이 부각되며 상승. |
|
도시가스 | 도시가스 요금 인상 전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그동안 동결됐던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추석 연휴 이후부터 오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가스공사의 도매요금에 연동되며, 도매요금은 요금의 약 80%를 차지하는 원료비에 따라 결정되는데 올해상반기 내내 가파르게 상승한 유가로 인해 원료비가 올랐음에도 정부는 9월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을 동결한 바 있음. ▷이에유가 상승으로 도시가스 도매요금도 올랐고, 15개월째 요금을 동결한 만큼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이 오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한국가스공사, 서울가스, 예스코홀딩스, 인천도시가스 등 도시가스 테마가 상승. |
|
패션/의류 | 4분기 및 내년 실적 정상화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의류/신발 OEM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은 현재 시장 추정치보다 크게 하향 조정될 위험이 있으며 10월 초까지 일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밝힘. 그러나, 이러한 리스크는 이미 8월까지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이제는 4분기와 2022년 정상화에 따른 실적 개선을 염두한 투자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언급. ▷지난해 코로나19 첫해는수요 급감에 따른 벤더 구조조정이 있었다면, 올해는 생산지 lock down 영향에 따른 2차 벤더 구조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 2022년 실적 정상화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1, 2차 벤더 구조조정의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이에 지금은 글로벌 의류 및 신발 OEM 기업에 대한 비중을 늘려야 할 때라고 판단한다고 설명. ▷아울러, 최근 국제 면화 가격이 2배 가까이 급등하며 의류 가격도 오를 것이라는 소식도전해짐. 지난 10일 대륙간거래소(ICE)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면화의 선물 가격은 최근 5년 중 최고치인 파운드당 96.27센트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해 4월 면화 가격인 파운드당 48.41센트와 비교했을 때 약 2배로 뛴 가격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한세실업, 영원무역, 화승엔터프라이즈 등 일부 패션/의류 테마가 상승. |
|
석유화학 | 中 석탄 가격 급등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중국 석탄 가격이 최근 급등하면서 석탄(메탄올)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설비가 많은 중국기업이 타격을 입는 반면, 국내 석유화학 기업이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중국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석탄 생산이 감소한데다, 호주와 중국의 갈등 격화로 호주산 석탄 수입까지 줄어들면서 연초 t당 200달러 수준이던 중국 원료탄 가격은 9월 현재 t당 430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업계에서는 석탄 의존도가 높은 중국 내 주요 석유화학 설비들의 원가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으며, 중국산 공급이 줄어들면 국내 업체가 수혜를 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음. 특히, 중국 내 생산설비 집중도가 높고, 그중에서도석탄(메탄올)을 기반으로 생산하는 공법의 비중이 높은 제품일수록 반사이익 정도가 클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아울러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中 갈등 완화 기대감 및 美 공급감소 등에 강세를 기록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58달러(+2.32%) 상승한 69.72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에 SK케미칼, 태광산업, 한화솔루션, 롯데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한편, 한화솔루션은 자회사 한화큐셀이 언론을 통해 지난 9일 서울 중구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제주도 분산에너지 사업 협력을 위해 제주에너지공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힌 점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
정유/LPG (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강세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58달러(+2.32%) 상승한 69.72달러에 거래 마감했음. 美 바이든 대통령과 中 시진핑 국가주석 전화통화 소식 등으로 양국간의 갈등 완화 기대감이 부각됐고, 허리케인 아이다 영향이 지속되면서 미국 내 원유 공급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이날 국제유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S-Oil, SK가스, E1 등 일부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 한편, SK가스와 E1은 수소 관련 신사업 확대 기대감이 재부각된 점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
폴더블폰/ 갤럭시 부품주 |
애플, 아이폰13 출시 예정 소식 속 경쟁심화 우려부각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현지시간 14일 애플은 애플 스페셜 이벤트를 개최하고 아이폰13 시리즈를 공개할 것으로 알려짐. 아이폰13 시리즈는 아이폰13, 아이폰13 미니, 아이폰13 프로, 아이폰13 프로 맥스 등 4종이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위성통신 기능이 지원될 것으로 전해짐. 미국/일본 등 1차 출시국가에서는 9월17일부터 사전예약을 시작해 24일 공식 출시할 예정. ▷애플은 아이폰13에 탑재할 A15프로세서 주문량을 1억개까지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통상 하반기 신제품 출시를위해 8,000만개를 주문했던 것을 고려할 때 증가된 규모임. ▷이러한 소식 속 삼성전자 폴더블 Z3 시리즈와의 경쟁 심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파인테크닉스, 세경하이테크, KH바텍, 신화콘텍, 자화전자 등 폴더블폰/갤럭시 부품주가 하락. |
|
인터넷 대표주/ 통신 |
데이터 독점 관련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발의 소식 등에 하락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0일 데이터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것으로 전해짐. 이번 법안의 주요내용은 법이 규정한데이터에 접근 허용을 확대하는 것이며, 카카오, 네이버, 이통3사 등 일정 규모 이상 전기통신사업자들이 이용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독점할수 없도록 하는 게 골자임. ▷한편, 공정위 사무처가 카카오 창업자이자 동일인(총수)인 김범수 의장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최근 카카오, 케이큐브홀딩스 본사를 현장조사한 것으로 전해짐. 공정위 사무처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지정자료에서 케이큐브홀딩스 관련 자료가 누락되거나 허위보고된 정황을 포착하고 직권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카카오, NAVER 등 인터넷 대표주와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 통신 테마가 하락. |
52주 신고가 종목들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새로닉스 (042600) |
+29.75 | 자회사 엘앤에프 지분가치 부각 |
한라 (014790) |
+22.79 | 300억원 규모 주식 소각 계획 및 주주환원 정책 기대감 |
모헨즈 (006920) |
+22.79 |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대선경선 후보, 새만금 개발 등 포부 속 새만금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화신정공 (126640) |
+18.38 | 정치/인맥(홍준표)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엘앤에프 (066970) |
+16.29 | 삼성SDI,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 공개 및 향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 확대 전망 등에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
EG (037370) |
+12.97 | |
대호특수강 (021040) |
+12.00 | |
코스모신소재 (005070) |
+10.05 | 삼성SDI,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 공개 및 향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 확대 전망 등에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
버킷스튜디오 (066410) |
+9.41 | 빗썸과 국내 최초 메타버스 복합 커머스 플랫폼 '빗썸라이브' 설립 소식 |
화성산업 (002460) |
+8.25 | |
코오롱플라스틱 (138490) |
+7.57 | 코오롱그룹, 수소 밸류체인 구축 기대감 지속 |
천보 (278280) |
+6.30 |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속 견조한 중장기 수익성 기대감 지속 |
롯데정밀화학 (004000) |
+5.54 | 석탄/천연가스/곡물가 강세 속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 |
SK가스 (018670) |
+4.59 |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속 수소 관련 신사업 확대 기대감 재부각 |
리노공업 (058470) |
+4.24 | |
삼일 (032280) |
+4.13 | |
신세계 I&C (035510) |
+3.70 | 그룹 투자 확대 속 본업 및 신사업 성장 기대감 |
대주전자재료 (078600) |
+3.54 |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속 하반기 실적 추정치 상향조정 기대감 지속 |
애경유화 (161000) |
+3.26 | 석유화학 및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
덕신하우징 (090410) |
+2.29 | 정치/인맥(홍준표)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 |
일성건설 (013360) |
+1.95 | |
동원시스템즈 (014820) |
+1.78 | 삼성SDI,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 공개 및 향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 확대 전망 등에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
E1 (017940) |
+1.28 |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속 수소 관련 신사업 확대 기대감 재부각 |
피제이메탈 (128660) |
+1.25 | |
아이비김영 (339950) |
+1.18 | |
SKC (011790) |
+1.15 | 석유화학 및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속 공격적 증설 계획에도불구하고 동박 수급 타이트 기대감 지속 |
에코프로비엠 (247540) |
+0.67 | 2차전지(소재/부품) 테마 상승 속 매출 가시성 확대에 따른실적 전망치 상향 |
동양생명 (082640) |
+0.45 | |
하나마이크론 (067310) |
+0.24 | 1,500억원 규모 투자결정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
유가증권 / 코스닥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도 상위종목
반응형
'주식 투자 > 증시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월 10월 22일 금요일 증시요약 (0) | 2021.10.22 |
---|---|
[공시] 티와이엠 TYM 추가상장(국내CB전환) 2021.10.05 (0) | 2021.10.06 |
2021년 8월 17일 증시요약 * 하락장 / 바이오, 손해보험 강세 (0) | 2021.08.17 |
2021년 8월 13일 증시요약 * 외국인 대량 매도, 삼성전자 하락 / 2차전지 테마 강세 (0) | 2021.08.13 |
2021년 8월 12일 증시요약 * 반도체 대장주 큰 폭 하락 / 자율주행,2차전지 테마강세 (0) | 2021.08.12 |
댓글